[한국미디어뉴스통신=박주환 기자]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는 우주의 신비만큼이나 무한하고 영원하며 인간과 자연은 상생의 원리 속에 무한한 공존을 거듭하면서 역사를 만들어가고 있다. 유구한 역사 속에서 인간이 행할 수 있는 가장 원초적인 예술표현의 대상은 자연이며 모든 미적 형태의 다양성은 자연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계로 말미암아 자연은 인간에게 있어 예술의 발생에서부터 지금까지 시대를 막론하고 가장 대표적인 예술의 소재가 되어 왔으며 자연이 전해주는 끝없는 생명력과 그 내적인 교감을 통한 정신적 미감의 표출은 회화예술이 지닌 영원한 화두가 되고 있다.

동행
동행

‘예술가는 있어도 장인은 없다’는 말이 회자되고 있는 국내 미술계에서 자신만의 고유한 미학세계를 경주하고 있는 화가가 있다. 자연과의 묵시적 교감을 통해 창작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는 김충식 화백이 바로 그 주인공. 미술에 대한 끊임없는 애정과 열정으로 자신의 내면세계와 예술가로서의 자화상을 투영하고 있는 그는 오랫동안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작품세계를 진작시켜 왔다.

김충식 화백은 수묵의 깊이와 번짐을 응용한 기법으로 전통산수화의 맥을 흔들림 없이 이어오며 깊은 탐구를 통하여 한국화의 정체성을 찾는 작업에 주력하고 있다. 수묵을 기조로 한 활달하고 박진감 넘치는 운필 등 전통의 기법으로 작품 활동에 매진하고 있는 김 화백의 산수화는 단아하면서도 그윽한 품격이 있다. 힘과 깊이를 지닌 그림들은 자연의 커다란 온화함과 지극한 사랑을 담아내고 있으며, 단순히 자연의 아름다움을 예찬하는 데 그치지 않고 평온한 마음으로 자연에 대한 존중과 관조의 길로 들어서게 한다.

방도리몽유도원도
방도리몽유도원도

김충식 화백이 자연과 인간에게서 받은 심상을 작품을 통해 표현하는 방식은 직업적인 예술가로서의 형식적 의무감에서가 아니라 ‘자연과 합일된 본질적 인간성’이라는 프리즘에 의해 발현된다. 우리 세상의 정신적인 가치를 미술로 높게 승화시키는데 매진해 온 그의 작품은 관람객들에게 보는 즐거움과 깊은 미학적 울림을 전달하며 그들의 마음을 자연 속으로 회귀시킨다. 때문에 자연과 인간을 아우르는 모든 세상을 고요하게 응시하는 그의 눈에는 자연에 대한 형언할 수 없는 애정과 감동으로 가득 차 있다.

축복
축복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의 특징을 창의적이고 탁월한 구성력과 뛰어난 묘사력으로 표현해 내고 있는 김 화백은 시시각각 아름다움을 뿜어내는 자연을 그만의 메타포로 재구성하고 있다. 볼 때마다 다른 자연의 거대한 위용을 때로는 빠르게, 때로는 느린 속도의 강한 획으로 율동미를 자아내고 묵의 농담과 태점으로 그 분위기를 자연스럽게 연출하고 있으며 관람객의 시선에서 바라보는 산수가 아닌 그림 속으로 들어가서 누구나 노닐고 싶고 노후에 거처하고 싶은 이상적인 정경을 담아냈다. 편안한 안식처와 같은 고향, 아늑한 그리움이 배어있는 서정적인 자연의 모습 등 김 화백이 작품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조형적 관점은 궁극적으로 자연과의 소통이다. 김충식 화백은 “내가 생각하는 것들은 우리의 전통을, 내 철학을, 결국엔 나를 그리는 것이다. 내가 어떻게 생각하고 무슨 생각을 할 건지, 세상을 어떻게 보는지 등을 정리한 것들을 선택해서 소재를 통해 드러내려 한다.”고 말했다.

행복한꿈
행복한꿈

한편 의경세계의 깊은 탐구를 통해 한국화의 정체성을 찾는 작업에도 주력하고 있는 김충식 화백은 수묵화 중에서도 설경산수를 오랫동안 탐구해 왔으며 특히 동양의 전통적 소재인 설경에 대한 진지한 탐색을 통해 본인만의 시각으로 새롭게 해석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김 화백은 “작품 속 설경에서 눈은 곧 여백을 표현하기 위해 형태를 빌려온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눈이 아닌 포근함, 따뜻함, 감싸줌이라는 감정이 담겨있다.”며 “수묵담채를 통해 표출하고자 하는 심상은 ‘아름다움’으로, 이는 세상의 모든 것을 감싸주고 해결해 주는 것이다. 꽃을 그릴 때도 꽃의 형태보다는 내 심상에서 재구성 된 꽃에 내재된 아름다움을 그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한국화에서 ‘여백’과 ‘선’을 중시하는 것에는 이유가 있다고 강조하는 김충식 화백. 그는 여백은 ‘한국인의 정서’를 담아내는 조형언어로, 여백의 공간에 작가의 심상뿐 아니라 감상자의 생각까지 담아내는 무한한 창고(노자사상의 無의 개념)라 강조했다. 또한 ‘선’의 경우 선을 그을 때 붓의 여러 감정, 기운을 넣는 것이지 형태를 그리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으로 박사학위도 받았다.

시대가 바뀌면서 전통적인 양식과 정신을 계승하는 작가들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 김 화백은 “한국화에 대한 개념을 확고히 정립하고 진정한 한국화의 의미를 담기 위해서는 한국화의 외향적인 면과 그 안에 내포된 정신, 전통성을 살려야 한다.”고 말했다. “눈과 마음, 영혼이 정화될 수 있는 경험 자체가 예술”이라는 김충식 화백. 삶의 무게에 짓눌려 힘든 현대인들이 김 화백의 작품을 감상하며 웃음과 여유, 휴식과 희망을 잉태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김충식 화백은 경기광주미술협회 회장, 경기도 미술협회 부이사장, (사)한국청소년미술협회 연수원장 등을 역임하며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미술발전에도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특히 직접 한국화 교육과정을 개발해 교사들에게 한국화 지도를 하고 있으며, 교육내용을 책으로 발간해 일반인들이나 교사들이 한국화를 좀 더 알기 쉽게 배우고 지도할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작품 활동을 통해서도 한국화를 널리 알리는데 헌신하고 있으며 중국, 일본, 러시아와 유럽 등 외국에 한국화를 알리는 전시회에도 열정을 쏟고 있다, 지난해 6월에는 김포문화재단이 주관, 김포아트빌리지 아트센터 전시실에서 열린 ‘칸딘스키와 함께하는 색채여행’전에서 동양의 재료를 사용해 칸딘스키의 점, 선, 면 이론을 그만의 스타일로 재해석한 작품을 선보이며 관람객들의 이목을 집중시킨 바 있다.

 

저작권자 © 한국미디어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