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디어뉴스통신=김승현 기자] 조선시대의 문신이자 서화가인 추사 김정희 선생이 발전시킨 특유의 글씨체를 뜻하는 ‘추사체’는 대한민국의 서예 역사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보물과도 같은 것이다. 그는 왕희지, 구양순으로 대표되는 정법(正法) 서체 외에 옛 한나라 비석에 새겨진 예서체를 알게 되었다. 그는 한례(漢隷)의 필법을 연구, 해서에 응용하여 소위 추사체를 창출했다. 추사체는 당시에 중국에서 유래하였던 대다수의 서체와는 다른 독특한 특징을 갖고 있다. 추사체는 음과 양, 삐뚤고 바른 것, 크고 작은 것, 성글고 빽빽함 등 파격적인 조형미를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며 당시의 서체와 구별되는 개성이 강한 서체로 많은 사람들이 추종하였다.

운정 최재수 서예가
운정 최재수 서예가

현재 추사체의 필법을 계승하고자 40여년을 정갈하게 좌정하여 먹을 갈고 붓을 드는 주인공이 운정 최재수 서예가다. 故 연파 최정수 선생의 조카이자 가산 최영환 선생과 사촌인 운정 최재수 서예가는 어린 시절부터 붓과 서예에 익숙한 일상을 보내며 故 연파 최정수 선생의 가르침을 받아 서예에 입문하여 추사체의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운정 최재수 서예가는 어린 시절부터 붓과 서예에 익숙한 일상을 보냈다. <연묵천자>, <연파총서>, <연파서집>, <추사체천자문>, <경전>, <연파서징>, <가언집>, <명시선집>, <사언삼백선> 등 다수의 추사체 교본을 집필하고 추사연묵회를 창립한 故 연파 최정수 선생의 가르침 아래 자신만의 해석을 통해 독창적인 필체를 개발했다. 최재수 서예가는 처음 추사체 연구에 들어서면서부터 중국 고전의 글씨체를 가장 먼저 파악하고 중국의 서예가인 왕희지나 구양순, 또 다수의 저서를 남긴 공자, 순자, 맹자, 노자 등 성인들의 저서, 두보와 이백 등 뛰어난 시 저작을 남긴 시인들의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것들을 두루 섭렵해갔다. 연구를 거듭한 결과 국내에서 손꼽힐 만한 추사체의 전문가로서 전국에 그 명성이 널리 알려져 있다. 운정 최재수 작가는 “숙부님으로부터 처음 서예를 접하게 되었는데, 그 때만 하더라도 추사체에 대해 교과서에 나오는 내용 이상으로 어떤 지식을 알고 있는 사람을 찾아보기가 힘들었다. 그러한 중에도 숙부님은 각종 서적을 수집하여 글씨를 쓰기 위해 노력하고 기억만으로 작품을 만들기 힘들 때에는 먹지에 대고 그려가면서 글씨를 연구하시던 열정을 어릴 때부터 가까이에서 지켜보았고, 어떻게 보면 이에 감화 받아 지금의 길을 걷게 됐다고 할 수 있다”라고 했다.

상선약수 경경위사
상선약수 경경위사

얼마 전 YNews에서 진행하는 ‘2020 대한민국 예술인 대상’(YNews 행사는 한국 예술성을 알리는데 그 목적을 두고 글로벌 경쟁체제 현실에서 문화예술발전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는 기관, 인물 중 우수한 리더십을 통하여 가치창출을 달성하는 인물을 선정하고 있다)에서 대상 차지하기도 한 운정 최재수 서예가는 한국서화가협회, 중국 대경시서도협회, (사)한국예술문화원 등의 초대작가로 활동하고 (사)추사체연구회 부회장, 한국백제서화작가협회 부회장, 한국추사서예가협회 자문위원, 한중일 문화교류협회 이사 및 연파기념사업회 이사 등 많은 서예협의 임원으로 있다. 남북코리아 민족화합상, 평창동계올림픽 특별상 등 굵직한 수상경력의 운정 서예가는 올해 국제문화아트페어 단체전에 추사 행서, 예서, 초서를 비롯한 추사체 작품을 소개하며 추사체만의 멋과 매력을 널리 알리기도 했다.

연파 선생과 가산 선생도 추사체 행서와 전서 등을 주로 연구하고 활용하였던 만큼 아직까지 예서를 쓰는 작가는 별로 존재하지 않는 편인데, 자연히 처음부터 모든 것을 연구하기에는 큰 어려움이 있었지만 스스로가 추사 선생님의 유지를 계승한다는 마음으로 꾸준히 활동해오니 서서히 그 성과를 인정받기 시작했다. 가장 뿌듯했던 순간으로 처음 초대작가가 되었던 때를 꼽는데 이때 연파 선생은 그에게 “겉넘지 말라”는 충고를 했다고 한다. 아직 가야 할 길이 멀고 초대작가라는 직함을 얻었지만 이제 겨우 첫 걸음을 뗀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더욱 겸손한 마음으로 작품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운정 최재수 서예가는 “선생님의 마음을 가슴 속에 품고 더욱 많은 사람들에게 추사체의 진가를 선보이기 위해 불철주야 노력하고 있다. 또 40여년을 추사체를 연구하며 붓을 잡았지만 이제야 추사체를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는 것 같다”라고 밝혔다.

현재 그는 추사체 예서로 쓴 천자문 저서를 쓰기 위해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연파 선생님 역시 추사체 행서‧초서로 쓴 천자문을 써낸 바 있으나, 예서에 대한 연구는 감히 스승님의 경지를 따라가는 노력을 할 수 있기에, 그의 소망이 이루어지는 것은 매우 근시일 내에 이루어질 일이라고 본다. 최재수 서예가는 “추사체 예서에 대한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여러 저서를 찾아보고 연구를 거듭해 보아도 마음에 드는 저서를 찾기가 힘들었다. 그렇기에 천자문을 완성하는 데까지는 적지 않은 시일이 걸릴 것이라 예상하고 있기는 하지만 고난 속에 맞이할 최후의 기쁨을 기대해보며 더욱 정진해나갈 것이다”이라며 “요즘은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기 바빠 서예는 취미생활에 머무는 경우가 많다. 제가 어릴 때만 하더라도 학교에 한문 수업이 활발히 이루어졌고 습자반이 있어 자연스럽게 서예를 접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요즘은 서예를 배우러 오시는 분들이 은퇴 후에 소일거리를 찾아오시는 경우가 많은데, 그 분들을 낮춰보는 것은 아니지만 늦게 시작한 만큼 상대적으로 이룰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래서 젊은 분들이 서예에 대한 관심을 갖고 서예에 뛰어들었으면 한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미디어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