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충일을 보내며

현충일 추모를 넘어 살아있는 이산가족에 대한 관심을 더 가져야 한다
현충일 추모를 넘어 살아있는 이산가족에 대한 관심을 더 가져야 한다

6월 6일은 현충일이다.

현충일은 국토방위에 목숨을 바친 이들의 충성을 기념하는 날로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다.

올해의 경우는 6월 6일이 일요일이어서 공휴일 느낌은 별로 없이 지나는 현충일이 되었다.

어느 국가나 국가로서 기능하기에는 상당한 전란을 거치며 존속하게 된다. 그리고 그 전란 속에서 국가의 존속을 위해 희생한 사람들을 추모하는 행사를 한다. 우리나라도 1945년 8월 15일 해방을 맞이하고, 국가로서의 기능을 갖춘 1948년 정부 수립 후 2년도 채 못 되어 한국전쟁을 치렀다. 이 전쟁에서 약 62만명의 국군 피해가 있었고, 약 240만명의 민간인 피해가 있었다.

1953년 7월 휴전이 성립된 후 3년이 지난 1956년 4월 우리 정부는 대통령령 제1145호로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건」을 개정하여 6월 6일을 현충기념일로 지정하여 공휴일로 하고 기념행사를 실시하도록 하였다. 당초 6월 6일을 ‘현충기념일’로 규정하였으나, 통상적으로 현충일이라 부르던 점을 감안하여 1975년 12월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규정」 개정을 통해 6월 6일을 ‘현충일’로 개정하였다. 이후 1982년 5월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해 6월 6일이 법정 기념일이 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동 규정에서 현충일은 “호국영령의 명복을 빌고 순국선열 및 전몰장병(戰歿將兵)의 숭고한 호국정신과 위훈(偉勳)을 기리는 행사를 하는 날”로 주관 부처는 국가보훈처로 규정하고 있다.

현충일을 6월 6일로 규정한 이유나 근거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다. 다만, 한국전쟁이 6월에 발발하였다는 점을 감안하였고, 24절기중 9번째 절기인 망종(芒種)과 겹치는 시기인 점을 감안했다는 설과 고려 현종 5년(1014년) 6월 6일 거란과의 전쟁에서 희생된 군사들을 추모했던 기록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현충일과 관련한 사례를 외국에서 찾아보면 어떨까.

미국에서는 매년 5월 마지막 월요일을 ‘메모리얼 데이(Memorial Day)’라 하여 공휴일로 지정하고 있다. 처음에는 미국 남북전쟁(1861~1865년)에서 전사한 장병들의 무덤에 깃발과 꽃을 가져 다 놓는 날로 시작되었다. 그러다가 모든 전쟁에서 전사한 장병들과 그밖의 다른 경우에 사망한 모든 사람들을 함께 추모하는 날로 바뀌었다. 이러한 분위기를 1971년 당시 닉슨 대통령이 5월 마지막 월요일을 ‘현충일(memorial day)’로 정하여 다른 공휴일과 마찬가지로 연방 공휴일로 정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충일에는 미국 전역에서 각 묘지나 현충탑에 모여 전쟁으로 전사한 사람들을 추모하는 각종 행사를 가진다. 일부 지역에서는 추모 퍼레이드를 하는 경우도 있으며, 교회나 학교 또는 기타 공공장소에서 추모행사나 기타 특별 행사를 개최한다.

현충일과 비슷한 개념으로 영국 연방국가들과 프랑스와 벨기에를 비롯한 여러 유럽 국가들에서 지켜지고 있는 ‘영령 기념일 또는 종전 기념일(Rememberance Day)’이 있다. 이 날은 11월 11일인데, 이는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1918년 11월 11일을 회상하기 위해 정한 날이다.

영국, 캐나다, 남아프리카, 호주, 그리고 뉴질랜드에서는 11월 11일 오전 11시에 2분간 묵념을 한다. 제2차 세계대전 이전에는 묵념이 1분이었으나, 2차례의 세계대전을 치른 후부터는 2분간 묵념을 하고 있다.

한편, 2차대전의 추축국이었던 독일에서는 휴전 또는 영령 기념일이 없다. 그리고 1918년 11월 11일은 폴란드에게 123년 동안 러시아, 프로이센, 그리고 오스트리아 등에게 영토가 나뉘어 있다가 다시 독립을 얻은 독립 기념일이 된다.

그리고 프랑스 파리의 샤를 드골 광장 한복판에 자리하고 있는 개선문 바로 아래에는 무명 용사의 무덤이 있다. 이 무덤은 제1차 세계대전에서 죽은 무명용사들을 기리는 무덤으로 1920년 독일이 항복한 날을 기념하여 만들어졌다. 이때 이 곳에 만들어진 절대로 꺼지지 않는 성화가 점화되어 현재까지 꺼지지 않고 있다. 매년 11월 11일에는 무명용사의 무덤에서 추모식이 열린다.

1961년 미국의 캐네디 대통령이 이곳을 방문하여 무명용사들에게 경의를 표했다. 1963년 캐네디 대통령이 암살된 직후 그의 아내였던 재클린 여사가 프랑스 개선문의 성화를 기억해 내고는 그 성화를 버지니아주 알링턴 국립묘지의 캐네디 묘 옆에 놓아 달라고 부탁을 했다. 그 부탁을 듣고 드골 대통령이 성화와 함께 캐네디 대통령 장례식에 참석한 후 캐네디 묘 옆에 그 성화를 놓았다.

2021년 현충일을 보내며 한국 전쟁을 다시금 떠올린다.

특히 한국전쟁으로 인하여 발생된 이산가족 문제가 마음을 아프게 한다.

한국전쟁 이후 70년이 지나고 있기에, 전쟁 당시에 20살 내외의 청년들이 이제는 90세 내외의 노령이 되었다. 정부가 운영하고 있는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등록된 이산가족 현황에 따르면 1988년부터 2011년 3월 31일까지 신청한 등록자는 12만 8,523명이고 이중 생존 8만 1,198명이고 사망 4만 7,334명이었다. 그러나 2019년 12월말을 기준으로 보면 등록자는 총 13만 3,370명이고, 이 중 생존자는 5만 2,730명인데 비해 사망자는 8만 640명으로 사망자가 급격하게 늘고 있다.

6월 6일 현충일을 보내면서 우리나라를 위해 숨진 호국 영령들에 대한 경건한 마음을 가지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살아 있는 이산가족들의 생사확인과 실질적 상봉이 너무도 절실한 현실임을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미디어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