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디어뉴스통신=박주환 기자] 한국 회화사에서 문인화는 ‘문인’이라는 시대의 엘리트가 당대의 덕목과 자신의 사상을 회화 형태로 표출한 독특한 양식으로 오랫동안 동양회화에서 확고부동한 위치를 점해 왔다. 고대 중국에서 삼절(시, 서, 화)을 근간으로 전개돼 온 문인화는 문인지화, 즉 문인이 그린 그림이라는 의미로 역사 속에서 이들 문인이 지녔던 인문주의 발현의 한 산물로서 이루어졌고 지금까지 전래되어 왔다.

박등용 화백
박등용 화백

작가의 높은 인격과 사상으로 시적인 분위기 속에 흥취된 상태에서 어떤 화풍이나 기교에 구애됨이 없이 맑은 정신 상태에서 마음으로 그림을 그리고 우러나오는 감정을 표현한 문인화는 작가의 수양된 인품이 나타나며 감상하는 사람에게는 그윽하고 청아한 감정이 일어나도록 한다. 형식적으로는 지필묵을 중심으로 한 고유한 조형체계와 내용으로는 독화라는 독특한 감상체계를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조형과 감상체계는 독자적인 안전성을 지니는 것으로, 여타 회화와는 뚜렷이 구분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온고지신’을 바탕으로 정통서예와 문인화를 바탕으로 현대문인화를 개척하고 있는 박등용 화백은 국내화단의 역량 있는 문인화가다. 전통의 방식을 중시하면서도 작가 자신의 주관적인 통찰을 통해 전통회화의 기법을 더욱더 넓히고자 노력하고 있는 그는 상황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현대적인 미적 감수성에 부응하는 새로운 틀을 만들어 내려고 절치부심 문인화에 매진하고 있다. 성남시 모란에서 ‘운정 서화실’을 운영하며 문인화의 맥을 이어가고 있는 운정 박등용 화백이 농묵·중묵·담묵 등 농담을 자유자재로 구사하며 생동감 있는 선과 색, 구상, 여백 등의 자연스러움을 화폭에 담아내고 있다. 글을 그림같이, 그림을 글씨같이 하여 글속에는 화풍이 그림 속에는 생명력 있는 선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는 박등용 화백은 스스로를 ‘문인화에 한 평생을 바친 사람’이라고 말한다. 자신에게 ‘밥과 같은 존재’라고 밝히며 인생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즉 삶과도 직결된 것이 바로 그림과 글이라는 것. 박 화백은 유년시절 서예와 문인화에 남다른 재능을 보이며 문인화를 어깨너머로 배우기 시작한 후 금파 고병덕 선생으로부터 시서화의 기본기를 밀도 있게 다져 나갔고, 탁월한 천부적 예술성을 바탕으로 도안사로서 직업 활동을 하던 중 20년 전 작품에 주력하기 위해 본격적인 화업을 시작했다.

박등용 화백은 빠르게, 때로는 느린 속도의 강한 획으로 율동미를 자아내고 묵의 농담과 태점으로 그 분위기를 자연스럽게 연출하며 한지를 채워간다. 단아하면서도 그윽한 품격, 그리고 힘과 깊이를 지닌 박 화백의 작품들은 관람객들로 하여금 작품에 대한 존중과 관조의 길로 들어서게 한다. 시, 서, 화가 어우러져 고매한 선비의 자태처럼 전통의 품격과 서정적 정취가 가득하다. 그는 문인화에 사용하는 전통재료를 넘어 서양재료를 배합하기도 하고, 사물의 극단적인 단순화 및 색채 대비 등을 시도하기도 한다. 이는 전통적인 틀과 내용을 원칙적으로는 수용하지만, 개별적인 표현에 있어서는 보다 차별화되고 현대적인 면을 드러내고자 하는 의지다. 뿐만 아니라 서체 연구개발에도 열의를 쏟은 선생은 캘리그라피 ‘운정체’를 개발해 작품의 개성을 한층 배가시키고 있다.

박 화백은 “문인화는 일필휘지로 가야되기 때문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문인화는 가는 선, 하나의 점에도 소홀함 없이 최선을 다해야만 작품에서 그 정신이 표출된다. 문인화를 그리기 위해서는 수많은 과정과 탄탄한 기본을 갖춰야 한다. 생동감 있는 선을 그리기 위해서는 힘과 정신의 균형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박등용 화백은 앞으로도 일상에 지친 현대인들의 삶에 마음의 치유와 위로, 그리고 행복 및 삶의 휴식을 전하고 싶다고 한다. 각박해져가는 세상 속에서 그림을 통해 잠시나마 안식을 얻을 수 있다면 그 보다 큰 보람은 없을 것이라는 박등용 화백. 그가 펼쳐놓은 그리움과 추억, 휴식의 순간들이 더 많은 이들에게 위로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한국미디어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